문화햇살 콘서트
2016. poster, banner, book graphic design
design. kim, jun-young
문화햇살 콘서트
2016. poster, banner, book graphic design
design. kim, jun-young
design studio
안상수는 “타이포그라피는 사전적 의미로 표현하기에는
부족하며, 타이포그라피는 ‘활자의 재료로 사용하는
미학’으로서 여기서 활자는 다양한 기호나 텍스트로
대치하여 타이포그라피가 가진 의미와 영역을 확장하여
해석할 가능성이 있다.”
기호학에서는 언어는 기의를 담은 기표가 상징성을
가지고 정해진 코드에 의해서 대상을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의미작용을 하는 기호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언어의 특징에 오랜시간 사회적 약속에
의해 사용되어 하나의 체계를 갖게될 때 비로소 언어라
볼 수 있다. 공식 언어는 이렇게 생성된 기호에 문화권에
따라 영토안에서 정치적 목적에 의해 기관의 통제를
받게된다. 그러나 비공식 언어는 공식 언어보다 자유로운
성격을 가지게 되며 이것을 사용하는 공동체와
동일한 해석이 가능한 코드가 있을 때 만들어진다
만화의 기호들은 다양한 문화권에서 공통적인
코드 해석을 통해 의미전달을 한다. 만화의
기호들은 글자보다 직관적인 의미 전달의 기능은
떨어지지만 감각을 시각적으로 전달하고
동일한 해석이 가능하며 기호체계를 가지고 있는
비공식 언어 또는 시각언어로 바라볼 수 있다.
만화의 상징 기호를 타이포그라피적 표현에 적용하기 위해
기호학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만화의 상징 기호가 타이포그라피의
재료가 될 수 있다는 근거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다양한 분류를
통해 실험의 토대를 만들었다. 이번 장에서는 만화의 상징 기호를
타이포그라피적 표현의 기본 원칙과 시선의 흐름, 감정 이미지에
따른시각적 분류를 통해 작업을 진행한다.